2008. 10. 6. 16:26

break point가 빨간색이 없어지면서 디버깅이 안 될때

break point를 걸었는데 디버깅을 할려면 중간에 구멍이 뻥~ 뚫리면서

안 먹히는 경우가 있다.

소스의 버전이 서로 맞지 않으면 break point가 걸리지 않는데

여러개 같은 소스창을 계속 띄우게 되면 어느것을 디버깅 해야 할지 몰라서 생기는 문제인거 같다.

옵션값을 바꾸면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하다.

Tools -> Option -> Debugging -> General -> Require source file to exactly match the original statement 

기능을 끄면 된다.


2008. 10. 3. 20:25

[펌] 서브클래싱 1

 

서브클래싱이란 윈도우 프로시저로 보내지는 메시지를 중간에 가로채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중간에 서서 오고가는 메시지를 마음대로 조작하여 부득히하게 불필요한 메시지는 없애거나 어떤 메시지는 원래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하도록 할때 쓰입니다.

 

대표적인 사용사례(?)로는 다이얼로그 박스 윈도우가 아닌 메인 윈도우에서 Tab키로 포커스를 이동할 때... 입니다.

 

특정 윈도우의 윈도우 프로시저 번지를 새로 만든 윈도우 프로시저의 번지로 변경하면 모든 메시지는 새로 만든 윈도우 프로시저로 전달됩니다.

 

그냥 원래 윈도우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새로 만든 프로시저가 가로채서 먼저 받도록 한다는 것이 서브클래싱입니다.

 

간단히 에디트박스와 버튼을 서브클래싱하여 Tab키로 포커스이동이 가능하게 해보았습니다.

 

 

LRESULT CALLBACK EditSub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Message) {
      case WM_KEYDOWN:
         switch(wParam) {
            case VK_TAB:
               SetFocus(g_hWndButton);
               return 0;
         }
         break;
   }

   return CallWindowProc(g_OldEditProc, hWnd, Message, wParam, lParam);
}

 

LRESULT CALLBACK ButtonSub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Message) {
      case WM_KEYDOWN:
         switch(wParam) {
            case VK_TAB:
               SetFocus(g_hWndEdit);
               return 0;
         }

         break;
   }

   return CallWindowProc(g_OldButtonProc, hWnd, Message, wParam, lParam);
}

 

LRESULT CALLBACK Window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Message) {
      case WM_CREATE:

 ...


2008. 10. 3. 20:23

[펌] Dialog Box의 Control에 Tooltip넣기

 

Dialog Box의 Control에 Tooltip넣기


1.요약

Dialog Box의 Control에 Tooltip넣기

2.본문

Tooltip은 CToolTipCtrl 클래스를 이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먼저 Create()를 호출해서 Tooltip 객체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나서 AddTool()을 호출해 각각의 컨트롤과 Tooltip 문자열을 연결해 줍니다. 여기서 Tooltip 문자열을 표시해 주는 함수는 ReplyEvent()이며, Tooltip 컨트롤 객체를 생성해 주고 컨트롤과 연결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곳은 WM_INITDIALOG 메시지의 핸들러(OnInitDialog())입니다.

이렇게 Tooltip을 초기화해 준 후에 ReplyEvent()를 호출하면 툴팁을 볼 수 있으며, 나머지 처리는 PreTranslateMessage()에서 담당합니다.


3.예제

BOOL CTooltipDlg::OnInitDialog() 
{ 
    CDialog::OnInitDialog(); 
    // 툴팁 컨트롤을 생성해 준다.
    m_ctrTooltip.Create(this);    // 헤더파일에 CToolTipCtrl m_ctrTooltip;
    // AddTool 함수에 컨트롤 객체의 포인터와 툴팁 문자열을 설정한다. 

    m_ctrTooltip.AddTool(&m_ctrEdit, "여기에 이름을 넣으세요"); 
    m_ctrTooltip.AddTool(&m_ctrBtnOK, "여기를 누르면 확인입니다"); 
    m_ctrTooltip.AddTool(&m_ctrBtnCancel, "여기를 누르면 취소입니다."); 

    return TRUE; 

} 

BOOL CTooltipDlg::PreTranslateMessage(MSG* pMsg) 
{ 

    if (pMsg->message == WM_LBUTTONDOWN || 
        pMsg->message == WM_LBUTTONUP || 
        pMsg->message == WM_MOUSEMOVE) 
    { 
        // 툴팁을 보여 준다. 
        m_ctrTooltip.RelayEvent(pMsg); 
    } 
    return CDialog::PreTranslateMessage(pMsg); 
}

 


2008. 10. 3. 20:23

Text Color, Control BackGround Color

textColor_Test.zip

HBRUSH CTextColor_TestDlg::OnCtlColor(CDC* pDC, CWnd* pWnd, UINT nCtlColor)
{
 HBRUSH hbr = CDialog::OnCtlColor(pDC, pWnd, nCtlColor);
 
 // TODO: Change any attributes of the DC here
 if( pWnd->GetDlgCtrlID() == IDC_EDIT_TEXTCOLOR ) {

  if( !Complete )   // 플러그값에 따른 설정
  {
       pDC->SetTextColor( RGB(255,0,0));         // Font 색깔
  }
  else
  {
       pDC->SetTextColor( RGB(255,255,255));         // Font 색깔
  }
  // Control 배경처리
  pDC->SetBkColor( RGB(0,0,0));
  CFont    font;
 //  Font및 size
  font.CreateFont(14, 0, 0, 0, FW_SEMIBOLD, FALSE, FALSE, 0, 0, 0, 0, 0, 0, "Letha");  
  CFont *Oldfont= (CFont*) pDC->SelectObject(&font);
  hbr = (HBRUSH)GetStockObject(BLACK_BRUSH);
 }


 // TODO: Return a different brush if the default is not desired
 return hbr;
}

 

  WM_CTLCOLOR 메시지 처리 함수를 정의한 뒤 안에 각 상황에 따라 바뀌는 색에 대한 플러그

를 세팅해주고 다른 함수에서는  RedrawWindow()함수로 호출하도록 하면 된다.

 

 

 


2008. 10. 3. 20:22

[펌] MFC 주요 함수 설명

1. CObject 클래스

- CObject는 MFC 라이브러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클래스이다.



생성

CObject : 디폴트 생성자

CObject : 복사 생성자

operator new : new연산자

operator delete : delete연산자

operator = : 할당 연산자


진단 관련 함수

AssertValid : 객체의 멤버들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검사한다.

Dump : 객체의 멤버들에 대한 진단 덤프를 생성한다.


직렬화 관련 함수

IsSerializable : 객체가 직렬화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검사 작업을 수행한다.

Serialize : 아카이브를 이용하여 일반 파일에 객체를 저장하거나 또는 파일로부터 읽어 들인다.


기타 함수들

GetRuntimeClass : 객체의 클래스와 일치하는 CRuntimeClass 구조체를 반환한다.

IsKindOf : 주어진 클래스와 객체와의 관계를 검사한다.



2. 애플리케이션 프레임 워크 관련 클래스

- Visual C++에서 AppWizard가 생성해주는 기본 클래스들이다.

1)CWinApp

- CWinApp 클래스는 윈도우에서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객체를 파생하기 위한 베이스 클래스이다.

데이터 멤버

m_pszAppName :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지정한다.

m_hInstance :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인스턴스에 대한 핸들

m_hPrevInstance : 32비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NULL로 설정된다.

m_lpCmdLine :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위한 명령행 문자열로 널 문자로 끝난다.

m_nCmdShow : 초기 윈도우가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지정한다.

m_bHelpMode : 사용자가 도움말 모드에 있는지를 알려준다.(shift + F1으로 호출)

m_pActiveWnd : OLE서버가 in-place모드로 활성화될 때 컨테이녀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윈도에 대한 포인터이다.

m_pszExeName : 애플리케이션의 모듈명

m_pszHelpFilePath : 도움말 파일의 경로명

m_pazProfileName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INI파일명

m_pszRegistrykey :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파일 설정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완전한 형태의 레지스트리 키를 지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생성관련함수

CWinApp : CWinApp객체를 생성한다.


역할

LoadCuror : 커서 리소스를 읽어들인다.

LoadStandardCursor : WINDOWS.H 해더파일에서 이미 IDC_상수로 정의되어 있는 커서를 읽어 들인다.

LoadOEMCursor : WINDOWS.H 해더파일에서 윈도우 OEM에 이미 OCR_상수로 정의되어 있는 커서를 읽어 들인다.

LoadIcon : 아이콘 리소스를 읽어 들인다.

LoadStandardIcon : WINDOWS.H 해더파일에서 윈도우에 이미 IDI_ 상수로 정의되어있는 아이콘을 읽어 들인다.

LoadOEMIcon : WINDOWS.H 해더파일에서 윈도우 OEM에 이미 OIC_상수로 정의되어 있는 아이콘을 읽어 들인다.

RunAutomated : /Automation 옵션에 대해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행 옵션의 전달을 테스트한다.
(CCommandLineInfo::m_bRunEmbedded에 있는 값을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

RunEmbedded : /Embedding 옵션에 대해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행 전달을 테스트한다.
(CCommandLineInfo::m_bRunEmbedded에 있는 값을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 ParseCommandLine : 명령행 문자열에서 피라미터와 플래그를 parsing한다.

ProcessShellCommand : 명령행 문자열에서 피라미터와 플래그를 처리한다.

GetProfileInt : 애플리케이션의 .INI 파일로부터 정수 값을 읽는다.

WriteProfileInt : 애플리케이션의 .INI 파일에 정수 값을 적는다.

GetProfileString : 애플리케이션의 .INI 파일로부터 문자열을 읽는다.

WriteProfileString : 애플리케이션의 .INI 파일에 문자열을 적는다.

AddDocTemplate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문서 템플릿의 리스트에 문서 템플릿을 추가한다.

GetFirstDocTemplatePosition : 첫 번째 문서 템플릿으 위치를 얻어낸다.

GetNextDocTemplate : 문서 템플릿의 위치를 얻어낸다. (반복사용가능)

OpenDocumentFile : 파일에서 문서를 열기 위해서 프레임워크에 의해 호출된다.

AddToRecentFileList : 최근에 사용되었던 파일들의 리스트에 파일명을 추가한다. 최근 에 사용되었던 파일을 MRU파일이라고도 한다.

SelectPrinter : 프린터 대화상자를 통해서 사용자가 전에 지정한 프린터를 선택한다.

CreatePrinterDC : 프린터의 디바이스 컨테스트를 생성한다.

GetPrintDeviceDefaultsD : 프린터의 기본설정 값을 얻어낸다.

오버라이드 가능한 함수

InitApplication :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할 때 오버라이드한다.

InitInstance : 윈도우 객체를 생성하는 것처럼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인스턴스에 대해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오버라이드한다.

Run : 디폴트 메시지 루프를 실행한다. 메시지 루프를 다른 방식으로 수행하기를 원하면 이 함수를 오버라이드한다.

OnIdle : 애플리케이션의 idle time에 작업을 수행하려면 오버라이드한다.

ExitInstance :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 수행하려는 작업이 있으면 오버라이드한다.

HideApplication : 모든 문서를 닫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을 숨긴다.

CloseAllDocuments : 모든 문서를 닫는다.

PreTranslateMessage : 메시지가 윈도우 함수 ::TranslateMessage와 DispatchMessage로 보내기 전에 메시지를 필터링한다.

SaveAllModified : 수정된 모든 문서들을 저장한다고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DoMessageBox : 애플리케이션에서 AfxMessageBox를 구현한다.

ProcessMessageFilter : 어떤 메시지가 애플리케이션으로 보내지기 전에 가로챈다. ProcessWndProcException :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가 명령 핸들러에 의해서 넘겨진 처리 되지 않은 모든 예외들을 처리한다.

DoWaitCuror :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커서(보통 모래시계 모양)를 출력하거나, 사라지게 한다.

OnDDECommand : DDE(Dynamic Data Exchange)를 실행한다는 명령에 대응하여 프레임워크 가 직접 호출한다.

WinHelp : 윈도우 함수인 WinHelp를 호출한다.


초기화 관련 함수

LoadStdProfileSettintgs : 표준 .INI파일에 설정된 값을 읽어들이고 최근에 사용한 파 일들의 목록을 유지하다.

SetDialogBkColor : 대화상자와 메시지 출력 상자의 기본 배경색을 지정한다.

SetRegistryKey :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값들이 .INI파일 대신에 레지스트리에 저장되도 록 한다.

EnableShellOpen : 사용자가 파일 관리자에서 테이터 파일을 열 수 있도록 한다.

RegisterShellFileTypes : 파일 관리자에게 모든 문서의 타입을 등록한다.

Enable3dControls : 컨트롤의 모양이 3차원 형태를 하도록 한다.

Enable3dControlsStatic : 컨트롤의 모양이 3차원 형태를 하도록 한다.


명령 핸들러 관련 함수

OnFileNew : ID_FILE_NEW 명령을 수행한다.

OnFileOpen : ID_FILE_OPEN 명령을 수행한다.

OnFilePrintSetup : ID_FILE_PRINT_SETUP 명령을 수행한다.

OnContextHelp : 애플리케이션의 SHIFT+F1 키를 핸들링한다.

OnHelp : 애플리케이션에서 F1 키를 누를 경우 도움말의 수행을 핸들링한다.

OnHelpIndex : ID_HELP_INDEX 명령을 핸들링한다.

OnHelpFinder : ID_HELP_FINDER 명령과 ID_DEFAULT_HELP 명령을 핸들링한다.

OnHelpUsing : ID_HELP_USING 명령을 핸들링한다.


2) CFrameWnd

- CFrameWnd 클래스는 윈도우를 직접 다루는 멤버함수와 함께 오버라이드된 SDI 또는 팝업 프레임윈도우의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멤버

m_bAutoMenuEnable : 메뉴 아이템에 대한 자동 사용 및, 가능과 불가능여부를 제어한다. rectDefault : 윈도우가 초기 크기와 위치를 선택하도록 하는 CWnd 객체를 생성하는 경 우 정적 CRect 형인 멤버를 피라미터로 넘겨주게 된다.


생성 관련 함수

Create : CFrameWnd 객체와 관련된 프레임 윈도우를 생성하고 초기화하기 위해서 사용한 다.

LoadFrame :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윈도우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 이 함 수를 호출한다.

LoadAccelTable : 가속키 테이블을 읽어 들이기 위해서 이 함수를 호출한다.

LoadBarState : 컨트롤 바의 설정 상태를 복원하기 위해서 호출한다.

SaveBarState : 컨트롤 바의 설정 상태를 보관하기 위해서 호출한다.

ShowControlBar : 컨트롤 바를 실제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 이 함수를 호출한다.

SetDockState : 메인 윈도우 내의 프레임 윈도우를 도크상태(dock)로 설정한다.

GetDockState : 메인 윈도우 내의 프레임 윈도우 중 도크상태(dock)인 것들을 검색한다.


역할

ActivateFrame :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고 실제로 보이는 프레임을 만든다.

InitialUpdateFrame : 프레임 윈도우 내에서 호출된 모든 뷰에 소속된 OnInitialUpdate 멤버 함수의 호출을 유발한다.

GetActiveFrame : 활성화된 CFrameWnd 객체를 설정한다.

SetActiveView : 활성화된 CView 객체를 설정한다.

GetActiveView : 활성화된 CView 객체를 반환한다.

CreateView : CView에서 파생되지 않은 프레임 내에 뷰를 생성한다.

GetActiveDocument : 활성화된 CDocument 객체를 반환한다.

GetControlBar : 컨트롤 바를 검색한다.

GetMessageString : 명령 ID와 일치하는 메시지를 검색한다.

IsTracking : 스플리터 막대가 이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호출한다.

SetMessageText : 표준 상태 바의 텍스트를 설정한다.

EnableDocking : 컨트롤 바가 도킹되도록 허용한다.

DockControlBar : 컨트롤 바를 도킹시킨다.

FloatControlBar : 컨트롤 바를 분리시킨다.

BeginModalState : 프레임 윈도우를 modal로 설정한다.

EndModalState : 프레임 윈도우의 modal상태를 종료한다.

InModalState : 프레임 윈도우가 modal상태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값을 반환한다.

ShowOwnedWindows : CFrameWnd객체에서 계승받은 모든 윈도우들을 보여준다.

RecalcLayout : CFrameWnd객체의 컨트롤 바를 다시 위치시킨다.


오버 라이드 가능한 함수

OnCreateClient : 프레임에 대한 클라이언트 윈도우를 생성한다.

OnSetPreviewMode :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프레임 윈도우를 인쇄 미리 보기 모드 내부와 외부 모두를 설정한다.

GetMessageBar : 프레임 윈도우에 속한 상태 바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NegotiateBorderSpace : 프레임 윈도우 내의 경계 공간을 결정한다.


명령 핸들러 관련 함수

OnContextaHelp : 도움말을 보고자 하는 아이템에 위치시키고 SHIFT+F1 키를 눌렀을 때 해당 도움말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3) CView - CView클래스는 사용자 정의 뷰 클래스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뷰는 문서와 연관 이 있으며 문서와 사용자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가 된다. 즉, 뷰는 문서의 이미 지를 화면 상이나 프린터에 표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문서에 대한 조작으로 바꾸는 작업을 수행한다.


역할

DoPreparePrinting : 인쇄 대화상자를 표시하고 프린터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생성한다. PreparePrinting 멤버 함수를 오버라이드하는 경우에 호출한다.

GetDocument : 뷰와 관련된 문서를 반환한다.


OLE 관련 오버라이드 가능한 함수

OnDragEnter : 아이템이 처음으로 뷰의 드래그-드롭 영역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에 호출 된다.

OnDragLeave : 드래그된 아이템이 뷰의 드래그-드롭 영역을 벗어 나는 경우에 호출된다.

OnDragOver : 아이템이 뷰의 드래그-드롭 영역위로 드래그되는 경우에 호출된다.

OnDrop : 아이템이 뷰의 드래그-드롭 영역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호출된다. (디폴트 핸들러)

OnDropEx : 아이템이 뷰의 드래그-드롭 영역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호출된다. (디폴트 핸들러)

OnDragScroll : 커서가 윈도우의 스크롤 영역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호출된다.

OnInitialUpdate : 뷰가 처음으로 문서에 추가된 후에 호출된다.

OnScrollBy : 활성화된 인-플레이스 OLE 아이템을 포함하는 뷰가 스크롤되는 경우에 호출 된다.

OnScroll : OLE 아이템이 뷰의 경계선을 넘어서 드래그될 때 호출된다.

오버라이드 가능한 함수

IsSelected : 문서 아이템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OLE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

OnActivateView : 뷰가 활성화되었을 때 호출된다.

OnActivateFrame : 뷰를 포함하는 프레임 윈도우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때 호출된다.

OnBeginPrinting : 인쇄 작업이 시작될 때 호출된다. GDI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해서 오버라이드 한다.

OnDraw : 문서의 이미지를 클라이언트 윈도우, 프린터, 인쇄 미리보기 윈도우로 출력하는 경우에 호출된다. 보통은 오버라이드 한다.

OnEndPrinting : 인쇄 작업이 끝나는 경우에 호출된다. GDI 리소스를 할당 해제하기 위해서 오버라이드한다.

OnEndPrintPreview : 미리보기 모드를 빠져나올 대 호출된다.

OnPrepareDC : 화면 표시를 위해 OnDraw멤버 함수를 호출하기 전이나 인쇄, 인쇄 미리보 기를 위해서 OnPrint 멤버 함수를 호출하기 전에 호출된다.

OnPreparePrinting : 문서가 인쇄되거나 미리보기 전에 호출된다. 인쇄 대화상자를 초기화 하려면 이 함수를 오버라이드 한다.

OnPrint : 문서의 한 페이지를 인쇄하거나 미리보기 하는 경우에 호출된다.


생성 관련 함수

CView : CView 객체를 생성한다.



4) CDocument

- CDocument클래스는 사용자에 의해서 정의된 문서 클래스들을 위해서 기본적인 기능 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문서란 사용자가 "File" ▶ "Open" 명령을 사용하여 열고 "File" ▶ "Save" 명령을 사용하여 저장하는 데이터의 단위를 나타낸다.


생성 관련 함수

CDocument : CDocument 객체를 생성한다.


역할

AddView : 뷰를 문서에 연결시킨다.

GetDocTemplate : 문서 타입을 기술한 문서 템플릿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GetFirstViewPosition : 뷰의 리스트에서 첫 번째 뷰의 위치를 반환한다. 보통 루프에서 처 음 위치로 사용된다.

GetNextView : 문서와 관련된 뷰의 포인터를 반환하고, 다음 뷰의 위치로 이동한다.

GetPathName : 문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파일의 경로를 반환한다.

GetTitle : 문서의 제목을 반환한다.

IsModified : 문서가 마지막으로 저장된 후에 수정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가리킨다.

RemoveView : 문서에서 뷰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SetModifiedFlag : 마지막으로 저장이 된 후에 문서를 수정했는지의 여부를 가리키는 플래 그를 설정한다.

SetPathName : 문서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파일의 경로를 설정한다.

SetTitle : 문서의 제목을 설정한다.

UpdateAllViews : 문서와 연관이 있는 모든 뷰를 갱신한다.


오버라이드 가능한 함수

CanCloseFrame : 미리 오버라이드할 수 있으며 이 문서를 보여주기 위한 프레임 윈도우를 닫기 전에 호출된다.

DeleteContents : 문서의 해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호출된다.

OnChangedViewList : 뷰가 문서에 추가되거나 혹은 해제될 때 호출된다.

OnCloseDocument : 문서를 닫기 위해서 호출된다.

OnNewDocument :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기 위해서 호출된다.

OnOpenDocument : 이미 존재하는 문서를 열기 위해서 호출된다.

OnSaveDocument : 디스크에 문서를 저장하기 위해서 호출된다.

ReportSaveLoadException : 미리 오버라이드할 수 있으며 문서를 열거나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예외가 발생하였을 때 호출된다.

GetFile : 원하는 CFile 객체의 포인터를 반환한다.

ReleaseFile :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파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파일을 해제한 다.

SaveModified : 미리 오버라이드할 수 있으며 문서가 저장이 되어야 하는지를 사용자에게 묻기 위해서 호출된다.

PreClossFrame : 프레임 윈도우를 닫기 전에 호출된다.


메일 관련 함수

OnFileSendMail : 연결된 문서와 메일 메시지를 전송한다.

OnUpdateFileSendMail : 메일기능이 지원된다면, Send Mail 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3. 윈도우 관련 클래스 : CWnd

- CWnd 클래스는 MFC의 모든 윈도우 클래스들에 대해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 하는 클래스이다.

데이터 멤버

m_hWnd : CWnd와 관련된 HWND를 가리킨다.


생성/소멸 관련 함수

CWnd : CWnd객체를 생성한다.

DestroyWindow : 윈도우를 소멸한다. 그렇지만 객체를 소멸시키는 것은 아니다.





초기화 관련 함수

Create : CWnd 객체와 관련된 자식 윈도우를 만들고 초기화한다.

PreCreateWindow : CWnd 객체와 관련된 실제 윈도우를 만들기 전에 호출된다.

CaleWindowRect : 클라이언트 사각형 영역에서 윈도우를 만들기 전에 호출된다.

GetStyle : 현재 윈도우의 스타일을 반환한다.

GetExStyle : 확장된 윈도우의 스타일을 반환한다.

Attach : CWnd 객체에 윈도우 핸들을 추가한다.

Detach : CWnd 객체에서 윈도우 핸들을 분리하고 핸들을 반환한다.

PreSubclassWindow : SubclassWindow가 호출되기 전에 필요한 다른 서브클래싱이 일어나 는 것을 허용한다.

SubclassWindow : CWnd 객체에 윈도우를 추가하고 CWnd의 메시지맵을 통해서 루트 메시 지로 만든다.

UnSubclassWindow : CWnd 객체에서 윈도우를 분리한다.

FromHandle : 윈도우에 핸들이 주어질 때 CWnd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CWnd 객체가 핸들을 가지지 않는다면, 임시적인 CWnd 객체기 생성되고 추가된다.

FromHandlePermanent : 윈도우에 핸들이 주어질 때 CWnd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CWnd 객체가 핸들을 가지지 않는다면, NULL이 반환된다.

DeleteTempMap : CWinApp가 자동으로 호출하며 FromHandle에 의해서 생성된 어떠한 임시 CWnd 객체도 지운다.

GetSafeHwnd : 포인터가 NULL이면, m_hWnd, 또는 NULL을 반환된다.

CreateEx : 오버랩된 형태의 팝업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고 이것을 CWnd 객체에 추가한다

. CreateControl : MFC 프로그램에서 CWnd 객체에 의해서 표현되는 OLE 컨트롤을 생성한다.


윈도우 상태 함수

IsWindowEnabled : 윈도우에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이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EnableWindow : 윈도우에 마우스와 키보드로 입력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도록 한다.

GetActiveWindow : 활성 윈도우를 얻는다.

SetActiveWindow : 윈도우를 활성화한다.

GetCapture : 마우스를 캡쳐한 CWnd를 얻는다.

SetCapture : 모든 일련의 마우스 입력이 CWnd로 보내지도록 한다.

GetFocus : CWnd가 현재 입력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지 검사한다.

SetFocus : 입력 포커스를 설정한다.

GetDestktopWindow : 윈도우 시스템의 desktop윈도우를 얻는다.

GetForegroundWindow : 포그라운드 윈도우의 포인터를 반환한다.

SetForegroundWindow : 생성된 윈도우의 스레드를 포그라운드로 설정하고 윈도우를 활성 화 한다.

GetIcon : 핸들에서 아이콘을 얻는다.

SetIcon : 핸들에 특정 아이콘을 설정한다.

GetWindowContextHelpId : 도움말 항목에 대한 식별자를 얻는다.

SetWindowContextHelpId : 도움말 항목에 대한 식별자를 지정한다.

ModifyStyle : 현재 윈도우의 스타일을 수정한다.

ModifyStyleEx : 확장된 윈도우의 스타일을 수정한다.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

GetWindowPlacement : 윈도우가 보여지는 상태와 정상(복귀된), 최소, 최대화된 윈도우의 위치를 얻는다.

SetWindowPlacement : 윈도우가 보여지는 상태와 정상(복귀된), 최소, 최대화된 윈도우의 위치를 설정한다.

IsIconic : CWnd가 최소화되었는지를 알아본다.

IsZoomed : CWnd가 최대화되었는지를 알아본다.

MoveWindow : CWnd의 위치또는 크기를 변경한다.

SetWindowPos : 크기, 위치, 순서, 팝업, 최상위 윈도우에 대한 것을 설정한다.

ArrangeIconicWindows : 모든 축소된(아이콘화 된) 자식 윈도우에 대한 것을 설정한다.

BringWindowToTop : CWnd를 오버랩 된 윈도우의 맨 처음으로 보낸다.

GetWindowRect : CWnd의 화면 좌표를 얻는다.

GetClientRect : CWnd 클라이언트 영역의 크기를 얻는다.


윈도우 참조 관련 함수

ChildWinddowFromPoint : 어떤 자식 윈도우가 특정 점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알아낸다.

FindWindow : 윈도우의 이름과 클래스로 확인이 가능한 윈도우의 핸들을 반환한다.

GetNextWindow : 윈도우 관리자의 리스트에서 다음 또는 이전 윈도우를 반환한다.

GetOwner : CWnd의 소유자에 대한 포인터를 얻는다.

SetOwner : CWnd의 소유자를 변경한다.

GetTopWindow : CWnd에 속한 맨 첫 번째 자식 윈도우를 반환한다.

GetWindow : 이 윈도우와 특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윈도우를 반환한다.

GetLastActivePopup : CWnd이 가지고 있는 팝업 윈도우가 가장 최근에 활성화 되었는지를 알아낸다.

IsChild : CWnd가 자식 윈도우인지 또는 다른 특정 윈도우의 후손인지를 알아낸다.

GetParent : CWnd의 부모 윈도우가 있다면 그 윈도우를 얻는다.

GetSafeOwner : 지정된 윈도우의 소유자를 얻는다.

SetParent : 부모 윈도우를 변경한다.

WindowFromPoint : 특정 점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알아낸다.

GetDlgItem : 특정 대화상자에서 특정 ID의 컨트롤을 얻는다.

GetDlgCtrlID : CWnd가 자식 윈도우이면, 자신의 ID 값을 반환한다.

SetDlgCtrlID : 윈도우에 윈도우 또는 컨트롤의 ID를 설정한다.

GetDescendantWindow : 모든 자식 윈도우를 검색하고 윈도우의 특징 ID를 반환한다.

GetParentFrame : CWnd 객체의 부모 프레임 윈도우를 얻는다.

SendMessageToDescendants : 윈도우의 모든 자식 윈도우에게 메시지를 보낸다.

GetToLevelParent : 윈도우의 최상위 부모를 얻는다.

GetToLevelOwner : 최상위 윈도우를 얻는다.

GetParentOwner : 자식 윈도우의 부모 윈도우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GetTopLevelFrame : 윈도우의 촤상위 프레임 윈도우를 얻는다.

UpdateDialogControls : 대화상자의 버튼이나 다른 컨트롤들의 상태 갱신을 요구한다.

UpdateData : 대화상자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유효화한다.

CenterWindow : 부모 윈도우의 중앙에 윈도우를 위치시킨다.


갱신/그리기 함수

BeginPaint : 드로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CWnd를 준비한다.

EndPaint : 드로임 작업을 마친다.

Print : 특정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현재 윈도우를 그린다.

PrintClient : 특정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모든 윈도우를 그린다.

LockWindowUpdate : 정해진 윈도우에 드로잉을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다시 가능하도록 한다.

GetDC : 클라이언트 영역에 표시된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얻는다.

GetDCEx : 클라이언트 영역에 표시된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얻고, 그리는 도중에 클리핑이 가능하도록 한다.

RedrawWindow : 클라이언트 영역에서 특정 사각형이나 특정 영역을 갱신한다.

GetWindowDC : 툴바나, 메뉴, 스크롤 바를 포함한 모든 윈도우 영역에 대한 디바이스 컨 텍스트를 얻는다.

ReleaseDC : 클라이언트와 윈도우 디바이스 컨택스트를 해제함으로써, 다른 애플리케이션 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UpdateWindow : 클라이언트 영역을 갱신한다.

SetRedraw : CWnd가 변화된 것을 다시 그리도록 설정하거나, 다시 그릴 수 없도록 설정 하는 역할을 한다.

GetUpdateRect : CWnd의 갱신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가장 작은 사각형의 좌표를 얻는다.

GetUpdateRgn : CWnd의 갱신 영역을 얻는다.

Invalidate : 모든 클라이언트 영역을 무효화한다.

InvalidateRect : 현재의 갱신 영역에 사각형을 추가함으로써 정해진 사각형 내의 클라이언 트 영역을 무효화한다.

InvalidateRgn : 현재의 갱신 영역에 영역을 추가함으로써 정해진 영역내의 클라이언트 영 역을 무효화한다.

VaildateRect : 현재의 갱신 영역에서 사각형을 제거함으로써 정해진 사각형 내의 클라이 언트 영역을 유효화시킨다.

VaildateRgn : 현재의 갱신 영역에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정해진 영역 내의 클라이언트 영 역을 유효화시킨다.

ShowWindow : 윈도우를 보이도록 하거나 숨긴다.

IsWindowVisible : 윈도우가 보이는지를 알아낸다.

ShowOwnedPopups : 윈도우가 가지고 있는 모든 팝업 윈도우를 보이게 하거나 숨긴다.

EnableScrollBar : 스크롤 바의 화살표를 사용가능하도록 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


좌표 매핑 관련 함수

MapWindowPoints : CWnd의 좌표계로부터 다른 윈도우의 좌표계로 지정된 점들을 매핑시 킨다.

ClientToSreen : 클라이언트 좌표계를 화면 좌표계로 변환한다.

ScreenToClient : 화면 좌표계를 클라이언트 좌표계로 변환한다.


윈도우 텍스트 함수

SetWindowText : 윈도우의 텍스트나 캡션 제목을 지정된 텍스트로 설정한다.

GetWindowText : 윈도우의 텍스트나 캡션 제목을 반환한다.

GetWindowTextLength : 윈도우의 텍스트나 캡션 제목의 길이를 반환한다.

SetFont : 현재의 폰트를 설정한다.

GetFont : 현재의 폰트를 얻는다.


스크롤 관련 함수

GetScrollPos : 스크롤 박스의 현재 위치를 얻는다.

GetScrollRange : 지정된 스크롤 바에 대한 최소, 최대의 스크롤 바 위치 값을 얻는다.

ScrollWindow : 클라이언트 영역의 내용을 스크롤한다.

ScrollWindowEx : 클라이언트 영역의 내용을 스크롤한다. (ScrollWindow과 비슷)

GetScrollInfo : 스크롤 바에 대한 SCROLLINFO 구조체 값을 얻는다.

GetScrollLimit : 스크롤 바의 한계 값을 얻는다.

SetScrollInfo : 스크롤 바에 대한 정보를 설정한다.

SetScrollPos : 스크롤 박스의 현재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이 되면, 새로운 위치를 나타내 도록 스크롤 바를 다시 그린다.

SetScrollRange : 지정된 스크롤 바에 대한 최소와 최대 위치 값을 지정한다.

ShowScrollBar : 스크롤 바를 보이거나 숨긴다.

EnableScrollBarCtrl : 스크롤 바의 컨트롤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도록 한다.

GetScrollBarCtrl : 스크롤 바 컨트롤을 반환한다.

RepositionBars : 클라이언트 영역에 컨트롤 바를 재위치 시킨다.


드래그-드롭 함수

DragAcceptFiles : 윈도우가 드래그된 파일을 받아들일 것인지를 결정한다.


Caret 관련 함수

CreateCaret : 시스템 캐럿으로 새로운 형태를 생성하고 캐럿의 소유권을 얻는다.

CreateSolidCaret : 시스템 캐럿으로 솔리드 캐럿을 생성하고 캐럿의 소유권을 얻는다.

CreateGrayCaret : 시스템 캐럿으로 회색 캐럿을 생성하고 캐럿의 소유권을 얻는다.

GetCaretPos : 특정 위치로 캐럿을 이동시킨다.

SetCaretPos : 화면에서 캐럿을 숨긴다.

HideCaret : 캐럿의 현재 위치에서 캐럿을 보이도록 한다.

ShowCaret : 캐럿의 현재 위치에서 캐럿을 보이도록 한다. 일단 캐럿이 화면에 나타나면 캐럿은 자동적으로 깜박거리게 된다.


대화상자 아이템 관련 함수

CheckDlgButton : 버튼 컨트롤 다음에 체크 표시를 하거나 버튼 컨트롤에서 체크 표시를 제거한다.

CheckRadioButton : 특정 라디오 버튼을 체크하고, 특정 버튼 그룹 내에 있는 모든 다른 라디오 버튼에서 체크 표시를 제거한다.

GetCheckedRadioButton : 버튼 그룹에서 현재 체크된 라디오 버튼의 ID를 반환한다.

DlgDirList :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리스트로 리스트 박스를 채운다.

DlgDirListComboBox :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리스트 콤보 박스를 채운다.

DlgDirSelect : 리스트 박스에서 현재 선택된 항목을 얻는다.

DlgDirSelectComboBox : 콤보 박스에서 현재 선택된 항목을 얻는다.

GetDlgItemInt : 지정된 대화상자에서 컨트롤이 사용하는 텍스트를 정수 값으로 변환한다.

GetDlgItemText : 컨트롤과 관련된 캡션이나 텍스트를 얻는다.

GetNextDlgGroupItem : 컨트롤 그룹 내의 다음 또는 이전 컨트롤을 찾는다.

GetNextDlgTabItem : 특정 컨트롤의 다음 또는 이전 컨트롤 중에서 WS_TABSTOP속성을 가 지는 컨트롤을 얻는다.

IsDlgButtonChecked : 버튼 컨트롤이 체크되었는지를 결정한다.

IsDialogItemMessage : 지정된 메시지가 모달리스(modeless)대화상자를 위한 것인지를 알아 내고, 만약에 그렇다면 그것을 처리한다.

SendDigItemMessage : 특정 컨트롤에 메시지를 보낸다.

SendDigItemInt : 지정된 대화상자에서 컨트롤이 사용하는 텍스트를 정수 값에 해당하는 문 자열로 설정한다.

SendDigItemText : 지정된 대화상자에서 컨트롤의 캡션이나 텍스트를 설정한다.

SubclassDlgItem : CWnd 컨트롤에 윈도우 컨트롤을 추가하고 CWnd의 메시지 맵을 통해 메시지를 배정하도록 한다.

ExecuteDlgInit : 해당 대화상자의 리소스로 초기화한다.

RunModalLoop : 모달 상태에 있는 윈도우의 메시지를 검색하고, 번역하거나, 처리한다.

ContinueModal : 윈도우 모달 상태를 지속시킨다.

EndModalLoop : 윈도우 모달 상태를 마친다.


메뉴 함수

GetaMenu : 특정 메뉴에 대한 포인터를 얻는다.

SetMenu : 현재의 메뉴를 지정된 메뉴로 설정한다.

DrawMenuBar : 메뉴 바를 다시 그린다.

GetSystemMenu : 애플리케이션이 컨트롤 메뉴를 복사하거사 수정하도록 참조하는 것을 허용한다.

HiliteMenuItem : 최상위 메뉴 아이템에서 선택된 부분을 하이라이트하거나 해제한다.


툴팁 함수

EnableToolTips : 툴팁 컨트롤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CancelToolTips : 툴팁 컨트롤을 사용 불가능하도록 한다.

FilterToolTipMessage : 대화상자에서 컨트롤과 관련된 제목이나 텍스트를 얻는다.

OnToolHitTest : 포인터가 특정 도구의 사각형 경계(보통 툴바 영역)안에 있는지를 알아내 고 그 도구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타이머 관련 함수

SetTimer : 시작될 때 WM_TIMER 메시지를 보내는 시스템 타미머를 설치한다.

KillTimer : 타이머를 해제한다.


경고 함수

FlashWindow : 윈도우를 한 번 반짝이게 한다.

MessageBox :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캡션과 메시지를가지고 있는 윈도우를 생성하고 화면에 출력한다.


윈도우 메시지 관련 함수 GetCurrentMessage : 윈도우가 현재 처리하고 있는 메시지의 포인터를 반환한다. OnMessage 류의 메시지 핸들러 멤버 함수 내부에서만 호출되어야한다.

Default : 디폴트 윈도우 프로시저를 호출하며, 이것은 애플리케이션에게 어떤 윈도우 메 시지도 디폴트 형태로 처리하도록 한다.

PreTranslateMessage : TranslateMessage와 DispatchMessage 윈도우 함수에서 처리되기 전 에 윈도우의 메시지를 필터링하기 위해서 CWinApp가 사용한다.

SendMessage : CWnd 객체에 메시지를 보내고 메시지를 처리할 때 까지 반환되지 않는다.

PostMessage : 애플리케이션 큐에 메시지를 위치시키고, 윈도우가 메시지를 처리할 때까 지 기다리지 않고 바로 반환한다.

SendNotifyMessage : 특정 메시지를 윈도우에 보내고 호출한 스래드가 윈도우를 생성했는 지에 따라서, 가능한 빨리 반환한다.




클립보드 관련 함수

ChangeClipboardChain : 클립보드 뷰어의 체인으로부터 CWnd를 제거한다.

SetClientboardViewer : 클립보드의 내용이 변하면 윈도우의 체인에 CWnd를 추가한다.

SetClipboard : 클립보드를 연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윈도우의 CloseClipboard 함수를 호 출할 때까지 클립보드를 수정하지 않도록 한다.

GetClipboardOwner : 클립보드의 현재 소유자에 대한 포인터를 얻는다.

GetOpenClipboardWindow :현재 클립보드가 열려진 윈도우에 대한 포인터를 얻는다.

GetClipboardViewer : 클립보드 뷰어의 체인에서 처음 윈도우에 대한 포인터를 얻는다.


OLE 콘트롤

SetProperty : OLE 컨트롤 프로퍼티를 설정한다.

OnAmbientProperty : 환경 프로퍼티 값을 구현한다.

GetControlUnknown : 알려지지 않은 OLE 컨트롤에 대한 포인터를 얻는다.

GetProperty : OLE 컨트롤 프로퍼티를 얻는다.

InvokeaHelper : OLE 컨트롤의 메소드나 프로퍼티를 호출한다.


오버라이드 가능한 함수

WindowProc : CWnd에 대한 디폴트 프로시저를 제공한다. 디폴트로 메시지 맵을 통해서 메시지를 처리하게 된다.

DefWindowProc : 디폴트 윈도우 프로시저를 요구하며, 이것은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하지 않은 모든 윈도우 메시지에 대해서 디폴트 처리를 하도록 한다.

PostNcDestroy : 윈도우가 소멸된 후에 디폴트 OnNcDestroy 함수에 의해서 호출되는 가상 함수이다.

OnChildNotify : 컨트롤 통지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기회를 컨트롤에게 주기 위해서 부 모 윈도우에 의해 호출된다.

DoDateExchange : 대화상자의 데이터 교환이나 유효화 검사를 위해서 UpdateData에 의해 서 호출된다.


초기화 메시지 핸들러

OnInitMenu : 메뉴가 활성화될 때 호출된다.

OnInitMenuPopup : 팝업 메뉴가 활성화될 때 호출된다.


시스템 메시지 핸들러

OnSysChar : 사용자가 컨트롤 문자로 변환하기 위해서 호출된다.

OnSysCommand : 사용자가 컨트롤 메뉴에서 항목을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최대화 또는 최 소화 버튼을 누를 때 호출된다.

OnSysDeadChar : 키 입력을 시스템의 Dead 문자((')등이 추가된 문자)로 변환할 때 호출 된다.

OnSysKeyDown : 사용자가 Alt 키를 누르고 다른 키를 누를 때 호출된다.

OnSysKeyUp : 사용자가 Alt 키를 누른 상태로 다른 키를 놓을 때 호출된다.

OnCompacting : 윈도우 시스템에서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에 호출된다.

OnDevModeChange :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모드 설정을 바꿀 때 최상위 윈도우가 호출된다.

OnFontChange : 폰트 리소스의 풀이 변할 때 호출된다.

OnPaletteChanged : 애플리케이션이 논리 팔레트를 적용할 것임을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게 알린다.

OnPaletteChanging : 윈도우가 논리 팔레트를 적용할 것임을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게 알 린다.

OnSysColorChange : 시스템의 컬러 설정에 변화가 있을 때 최상위 윈도우가 호출한다.

OnWindowPosChanging : SetWindowPos나 다른 윈도우-관리 함수의 호출의 결과로 크기, 위치, 또는 Z-Order가 변하려 할 때 호출된다.

OnWindowPosChanged : SetWindowPos나 다른 윈도우-관리 함수의 호출의 결과로 크기, 위치, 또는 Z-Order가 변했을 때 호출된다.

OnDropFiles : 사용자가 드롭된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등록된 윈도우 위에서 왼쪽 마우스 버튼을 놓을 때 호출된다.

OnSpoolerStatus : 프린트 관리자의 작업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마다 프린트 관리자가 호출한다.

OnTimeChange : 시스템 시간 설정이 변경되면 최상위 윈도우가 호출한다.

OnWinIniChange : 윈도우의 초기화 파일인 WIN.INI가 변경되면 최상위 윈도우가 호출한다.


일반 메시지 핸들러

OnCommand : 사용자가 명령을 선택할 때 호출된다.

OnActivate : CWnd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때 호출된다.

OnActivateApp :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려고 하거나 비활성화되려고 하는 경우에 호출 된다.

OnCancelMode : CWnd가 마우스 캡쳐와 같은, 어떤 내부적인 모드를 취소하는 것을 허용 하기 위해서 호출된다.

OnChildActivate : MDI의 자식 윈도우에서 CWnd의 크기나 위치가 변경되거나 CWnd가 활 성화될 때 호출된다.

OnClose : CWnd이 종료되는 신호로서 호출된다.

OnCreat : 윈도우 생성의 일부분으로서 호출된다.

OnCtlColor : 컨트롤이 그려지려 할 때 CWnd가 컨트롤의 부모 윈도우이면 호출된다.

OnDestroy : CWnd가 소멸될 때 호출된다

OnEnable : CWnd가 사용 가능하거나 불가능할 때 호출된다.

OnEndSession : 세션이 종료될 때 호출된다.

OnEnterIdle : 모달 대화상자나 메뉴가 유휴(idle)상태에 들어갈 때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윈 도우 프로시저에서 호출된다.

OnEraseBkgnd : 윈도우의 바탕이 지워져야 할 때 호출된다.

OnGetMinMaxInfo : 윈도우가 최대화된 위치나 크기, 또는 최소 또는 최대 트랙킹 크기를 알아야 할 때마다 호출된다.

OnIconEraseBkgnnd : CWnd가 최소화되거나 아이콘이 그려지기 전에 아이콘의 배경을 채 워야 하는 경우에 호출된다.

OnKillFocus : CWnd가 입력포커스를 잃기 전에 호출된다.

OnMenuChar : 사용자가 현재 메뉴에서 이미 정의된 코드와 대응이 안되는 문자를 눌렀을 때 호출된다.

OnMenuSelect : 사용자가 메뉴 아이템을 선택할 때 호출된다.

OnMove : CWnd의 위치가 변경된 후에 호출된다.

OnMoving : 사용자가 CWnd 객체를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OnDeviceChange : 디바이스나 컴퓨터의 하드웨어 설정이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OnStyleChanged : ::SetWindowLong 윈도우 함수를 사용하여 하나나 혹은 그 이상의 윈도우 의 스타일이 변했음을 알려준다.

OnStyleChanging : ::SetWindowLong 윈도우 함수를 사용하여 하나나 혹은 그 이상의 윈도 우의 스타일이 변하려 하는 것을 알려준다.

OnPaint : 윈도우의 일부분을 다시 그리기 위해서 호출된다.

OnParentNotify : 자식 윈도우가 생성되거나 소멸될 때, 또는 커서가 자식 윈도우 위에 있 는 동안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 호출된다.

OnQueryDragIcon : 최소화된 CWnd가 사용자에 의해서 드래그될 때 호출된다.

OnQueryEndSession : 사용자가 윈도우의 세션 종료를 선택하는 경우에 호출된다.

OnQueryNewPalette : CWnd가 입력 포커스를 받게됨을 알려준다.

OnQueryOpen : CWnd가 아이콘이거나 사용자가 아이콘이 열려지지기를 요구할 때 호출된다.

OnSetFocus : CWnd가 입력 포커스를 얻은 후에 호출된다.

OnShowWindow : CWnd가 감추어지거나 혹은 보여질 때 호출된다.

OnSize : CWnd의 크기가 변한 후에 호출된다.

OnSizing : 사용자가 사각형의 크기를 다시 조정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OnStyleChanged : 윈도우의 하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타일이 변한 것을 나타낸다.

OnStyleChanging : 윈도우의 하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타일이 변하려 하는 것을 나타낸다.


컨트롤 메시지 핸들러

OnCharToItem : LBS_WANTKEYBOARDINPUT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리스트 박스에 의해서 WM_CHAR에 대한 응답으로 호출된다.

OnCompareItem : 정렬이 가능한 owner draw 형태의 콤보 박스나 리스트 박스에서 새로운 아이템의 상대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 호출된다.

OnDeleteItem : owner draw 형태의 리스트 박스나 콤보 박스가 소멸되거나 아이템이 컨트 롤에서 제거될 때 호출된다.

OnDrawItem : owner draw 형태의 버튼 컨트롤, 콤보 박스 컨트롤, 리스트 박스 컨트롤이 다시 그려져야 할 때 호출된다.

OnGetDlgCode : 컨트롤이 화살표 키와 Tab 키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해서 호출된다.

OnMeasureItem : 컨트롤이 생성될 때 owner draw 형태의 콤보 박스, 리스트 박스, 또는 메뉴 아이템을 요구한다. CWnd는 윈도우에게 컨트롤의 크기를 알려준다.

SendChildNotifyLastMsg : 부모 윈도우가 자식 윈도우에게 통보 메시지를 제공하여 자식 윈도우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OnWndMsg : 윈도우의 메시지가 핸들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ReflectLastMsg : 자식 윈도우의 마지막 메시지를 나타낸다.

OnVKeyToItem : WM_KEYDOWN 메시지에 대하여 CWnd가 소유한 리스트 박스가 호출된다.


입력 메시지 핸들러

OnChar : 키 입력이 시스템 문자가 아닌 문자로 변환될 때 호출된다.

OnDeadChar : 키 입력이 시스템 문자가 아닌 Dead 문자로 변환될 때 호출된다.

OnHSroll : 사용자가 CWnd의 수평 스크롤 바를 클릭하는 경우에 호출된다.

OnKeyDown : 시스템 키가 아닌 키보드가 눌러 졌을 때 호출된다.

OnKeyUp : 시스템 키가 아닌 키보드가 놓을 때 호출된다.

OnLButtonDblClk : 사용자가 왼쪽 버튼을 더블 클릭 했을 때 호출된다.

OnLButtonDown : 사용자가 왼쪽 버튼을 눌렀을 때 호출된다.

OnLButtonUp : 사용자가 왼쪽 버튼을 놓을 때 호출된다.

OnMButtonDblClk : 사용자가 가운데 버튼을 더블 클릭 했을 때 호출된다.

OnMButtonDown : 사용자가 가운데 버튼을 눌렀을 때 호출된다.

OnMButtonUp : 사용자가 가운데 버튼을 놓을 때 호출된다.

OnMouseActivate : 커서가 비활성화된 윈도우에 있고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를 때 호출된다.

OnMouseMove : 마우스커서가 움직일 때 호출된다.

OnRButtonDblClk : 사용자가 오른쪽 버튼을 더블 클릭 했을 때 호출된다.

OnRButtonDown : 사용자가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 호출된다.

OnRButtonUp : 사용자가 오른쪽 버튼을 놓을 때 호출된다.

OnSetCuror : 마우스 입력이 캡쳐되지 않고 마우스가 윈도우에서 커서를 움직이게 하려면 호출된다.

OnTimer : SetTimer에서 정해진 간격마다 호출된다.

OnVScroll : 사용자가 윈도우의 수직 스크롤 바를 클릭할 때 호출된다.

OnCaptureChanged : 마우스 캡쳐를 놓치는 윈도우 메시지를 보낸다.


비 클라이언트 영역 메시지 핸들러

OnNcActivate : 비 클라이언트 영역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비활성화된 상태인지를 가리키 기 위해서 변환이 필요한 경우 호출된다.

OnNcCalcSize : 비 클라이언트 영역의 크기와 위치가 계산될 때 호출된다.

OnNcCreate : 비 클라이언트 영역이 생성될 때 OnCreate 보다 먼저 호출된다.

OnNcDestroy : 비 클라이언트 영역이 소멸될 때 호출된다.

OnNcHitTest : CWnd가 커서를 포함하고 SetCapture로 마우스 입력을 캡쳐할 때 마우스가 움직일 때 마다 윈도우에 의해서 호출된다.

OnNcLButtonDblClk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왼쪽 마우스 버튼을 더블 클릭 했을 때 호출된다.

OnNcLButtonDown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 호출된다.

OnNcLButtonUp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왼쪽 마우스 버튼을 놓을 때 호출된다.

OnNcMButtonDblClk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가운데 마우스 버튼을 더블 클릭 했을 때 호출된다.

OnNcMButtonDown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가운데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 호출된다.

OnNcMButtonUp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가운데 마우스 버튼을 놓을 때 호출된다.

OnNcMouseMove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호출된다.

OnNcPaint : 비클라이언트 영역이 다시 그려지기를 요구할 때 호출된다.

OnNcRButtonDblClk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더블 클릭 했을 때 호출된다.

OnNcRButtonDown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 호출된다.

OnNcRButtonUp : 커서가 CWnd의 비 클라이언트 영역 내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오른쪽 마 우스 버튼을 놓을 때 호출된다.


MDI 메시지 핸들러

OnMDIActivate : MDI child 윈도우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때 호출된다.


클립보드 메시지 핸들러

OnAskCbFormatName : 클립보드의 소유자가 클립보드의 내용을 나타낼 때 클립보드 뷰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호출된다.

OnChangeCbChain : 특정 윈도우가 체인에서 제거되었는지를 통지한다.

OnDestroyClipboard : 클립보드가 윈도우 EmptyClipboard 함수의 호출에 의해서 비워지는 경우에 호출된다.

OnDrawClipboard : 문장이 변경되었을 때 호출된다.

OnHScrollClipboard : 클립보드의 소유주가 클립보드의 이미지를 스크롤해야 하고 적절한 섹션을 무효화할 때 호출되며, 스크롤 바의 값들을 갱신한다.

OnPaintClipboard : 클립보드 뷰어의 클라이언트 영역이 다시 그려져야 할 때 호출된다.

OnRenderAllForamts : 소유주 애플리케이션이 파괴되고 있고 모든 포맷들을 다시 만들 필 요가 있을 때 호출된다.

OnSizeClipboard : 클립보드 뷰어 윈도우의 클라이언트 영역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 호출 된다.

OnVSrollClipboard : 소유주가 크립보드 이미지 스크롤해야 하는 경우에 호출되며, 적절한 섹션을 무효화하고, 스크롤바 값들을 갱신한다.


메뉴 루프 통지

OnEnterMenuLoop : 메뉴의 모달 루프가 수행되는 경우에 호출된다.

OnExitMenuLoop : 메뉴의 모달 루프가 마치는 경우에 호출된다.



4. 디바이스 컨텍스트 클래스

1) CDC 클래스

- CDC 객체는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터와 같이 윈도우 클라이언트 영역과 관련된 디스 플레이 컨텍스트와 관계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멤버 함수를 제공한다.

데이터 멤버

m_hDC : CDC 객체에 의해서 사용되는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

m_hAttribDC : CDC 객체에 의해서 사용되는 속성 디바이스 컨텍스트.

생성 관련 함수

CDC : CDC 객체를 생성한다.

CreateDC :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만든다.

CreateIC :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컨텍스트를 만든다. 이것은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만들지 않고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만 빠르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CreateCompatibleDC : 다른 디바이스 컨텍스트와 호환이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 컨텍스 트를 만든다. 이것은 메모리에 이미지를 미리 읽어 들이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DeleteDC : CDC 객체와 관련된 윈도우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삭제한다.

FromHandle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핸들이 주어졌을 때 CDC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만약 CDC 객체가 핸들과 연관되지 않았다면 임시로 CDC 객체를 만들고 핸들을 추가한다.

DeleteTempMap : FromHandle에 의해서 만들어진 임시 CDC 객체를 삭제하기 위해서 CWinApp가 유휴 시간 핸들러를 사용해서 호출하도록 한다. 이것은 디바이스 컨텍스트로 부터 핸들을 분리시킨다.

Attach : CDC 객체에 윈도우 핸들을 추가한다.

Detach : CDC 객체로부터 윈도우 핸들을 분리한다.

SetAttribDC : 속성 디바이스 컨텍스트인 m_hAttribDC를 설정한다.

SetOutputDC :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인 m_hDC를 설정한다.

ReleaseAttribDC : 속성 디바이스 컨텍스트인 m_hAttribDC를 해제한다.

ReleaseOutputDC :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인 m_hDC를 해제한다.

GetCurrentBitmap : 현재 선택된 CBitmap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GetCurrentBrush : 현재 선택된 CBrush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GetCurrentFont :현재 선택된 CFont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GetCurrentPalette : 현재 선택된 CPalette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GetCurrentPen : 현재 선택된 CPen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GetWindow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컨텍스트와 관련된 윈도우를 반환하다.

디바이스 컨텍스트 관련 함수

GetSafeHdc :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인 m_hDC를 반환한다.

SaveDC : 디바이스 컨텍스트의 현재 상태를 저장한다.

RestoreDC : SaveDC로 저장하기 이전 상태로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복원한다.

ResetDC : m_hAttribDC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GetDeviceCaps : 주어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성능에 관한 세부적인 디바이스 정보를 얻어 온다.

IsPrinting : 디바이스 컨텍스트가 인쇄를 위해서 사용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드로잉 도구(drawing tool)

관련 함수

GetBrushOrg : 현재의 브러시의 원점 값을 얻는다.

SetBrushOrg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선택된 브러시의 원점을 설정한다.

EnumObjects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펜들과 브러시들을 열거한다.



선택 helper 함수

SelectObject : 펜들과 같은 GDI 드로잉 객체를 선택한다.

SelectStockObject : 미리 정의된 스톡 펜, 브러시 또는 윈도우에 의해서 제공되는 폰트 중 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컬러와 컬러

팔레트 관련 함수

GetNearestColor : 지정된 디바이스가 나타낼 수 있는 논리 컬러에 가장 근접한 논리 컬러 를 얻는다.

SelectPalette : 논리 팔레트를 선택한다.

RealizePalette : 시스템 팔레트에 현재 논리 팔레트의 항목들을 매핑한다.

UpdatedColors : 픽셀당 픽셀을 기본으로 시스템 팔레트를 이용하여 현재 클라이언트 영 역을 일치시킴으로써 디바이스 컨텍스트의 클라이언트 영역을 갱신한다.

GetHalftoneBrush : 하프톤 브러시를 얻어온다.



드로잉 속성 관련 함수

GetBkColor : 현재의 배경색을 얻는다.

SetBkColor : 현재의 배경색을 설정한다.

GetBkMode : 배경 모드를 얻는다.

SetBkMode : 배경 모드를 설정한다.

GetPolyFillMode : 현재의 다각형을 채우기 위한 모드를 얻어 온다.

SetPolyFillMode : 다각형을 채우기 위한 모드를 설정한다.

GetROP2 : 현재의 드로잉 모드를 얻는다.

SetROP2 : 현재의 드로잉 모드를 설정한다.

GetStretchBltMode : 현재의 비트맵 확대 모드를 얻는다.

SetStretchBltMode : 비트맵 확대 모드를 설정한다.

GetTextColor : 현재의 텍스트 컬러를 얻는다.

SetTextColor : 텍스트 컬러를 설정한다.

GetColorAdjustment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컬러 보정 값을 얻는다.

SetColorAdjustment : 특정 값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컬러 보정 값을 설정 한다.

매핑 관련 함수

GetMapMode : 현재의 매핑 모드를 얻는다.

SetMapMode : 현재의 매핑 모드를 설정한다.

GetViewportOrg : 뷰포트의 원점의 x와 y좌표를 얻는다.

SetViewportOrg : 뷰포트의 원점을 설정한다.

OffsetViewportOrg : 현재 뷰포트 원점의 좌표와 관련된 뷰포트의 원점을 수정한다.

GetViewportExt : 뷰포트의 x와 y좌표를 얻는다.

SetViewportExt : 뷰포트의 x와 y좌표를 설정한다.

ScaleViewportExt : 현재 값과 관련있는 뷰포트의 범위를 수정한다.

GetWindowOrg : 관련된 윈도우의 원점에 대한 x와 y 좌표를 얻는다.

SetWindowOrg : 디바이스 컨텍스트의 윈도우 원점을 설명한다.

OffsetWindowOrg : 현재의 윈도우 원점의 좌표와 관련된 윈도우의 원점을 수정한다.

GetWindowExt : 관련된 윈도우의 x와 y의 범위를 얻는다.

SetWindowExt : 관련된 윈도우의 x와 y의 범위를 설정한다.

ScaleWindowExt : 현재 값과 관련있는 윈도우의 범위를 수정한다.




좌표 변환 함수

DPtoHTMETRIC : 디바이스 단위를 HTMETRIC 단위로 변환한다.

DPtoLP : 디바이스 단위를 논리 단위로 변환한다.

HTMETRICtoDP : HTMETRIC 단위를 디바이스 단위로 변환한다.

HTMETRICtoLP : HTMETRIC 단위를 논리 단위로 변환한다.

LPtoDP : 논리 단위를 디바이스 단위로 변환한다.

LPtoHTMETRIC : 논리 단위를 HTMETRIC 단위로 변환한다.




영역 관련 함수

FillRgn : 지정된 브러시로 특정 영역을 채운다.

FrameRgn : 브러시를 사용하여 특정 영역 주위의 경계선을 그린다.

InvertRgn : 영역에 있는 컬러들을 전부 반전시킨다.

PaintRgn : 선택한 브러시로 특정 영역을 채운다.


클리핑(clipping)관련 함수

SetBoundsRect : 지정된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사각형 경계영역의 정보를 설정한다.

GetBoundsRect : 지정된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해서 현재 설정된 사각형 경계영역의 정 보를 반환한다.

GetClipBox : 화면의 클리핑 경계에 가장 가까운 사각형의 크기를 얻는다.

SelectClipRgn : 특정 모드를 사용하여 현재 클리핑 영역과 조합한다.

ExcludeClipRect : 현재의 클리핑 영역에서 지정된 사각형 영역을 빼낸 후에 새로운 클리핑 영역을 생성한다.

ExcludeUpdateRgn : 클리핑 영역에서 윈도우에 있는 갱신될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유효하지 않은 영역에 그려지는 것을 막는다.

IntersectClipRect : 현재 영역과 사각형의 교차 영역을 만들어서 새로운 클리핑 영역을 만 든다.

OffsetClipRgn : 주어진 디바이스의 클리핑 영역 x 축과 y 축으로 각각 이동한다.

PtVisible : 클리핑 영역에 주어진 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낸다.

RectVisible : 주어진 사각형의 임의의 부분이 클리핑 영역 내에 있는지를 알아낸다.


선 출력 함수

GetCurrentPosition : 펜의 현재 좌표를 얻는다.

MoveTo : 현재 좌표를 이동한다.

LineTo : 현재 좌표에서 지정된 좌표까지 선을 그린다.

Arc : 타원형의 호를 그린다.

Arcto : 타원형의 호를 그린다. (현재 좌표가 갱신되는 것을 제외하면 Arc와 비슷하다.)

AngleArc : 선분과 호를 그리고 현재 좌표를 호의 끝점으로 이동한다.

GetArcDirection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현재 호를 그리는 방향을 반환한다.

SetArcDirection : 호와 사각형을 그리기 위한 방향을 설정한다.

PolyDraw : 선분과 베지어 스플라인을 그린다. 이 함수는 현재 좌표를 갱신한다.

PolyLine : 지정된 점들을 연결하는 선을 그린다.

PolyPolyLine : 연결된 선을 여러 개 그린다. 현재 좌표는 함수에 의해서 사용되거나 갱신되지 않는다.

PolyLineTo : 하나 이상의 직선을 그리고 마지막 선의 끝점으로 현재 좌표를 이동한다.

PolyBezier : 하나 이상의 베지어 스플라인을 그린다. 현재 좌표는 사용되나 갱신되지 않는 다.

PolyBezierTo : 하나 이상의 베지어 스플라인을 그리고 마지막 베지어 스플라인의 끝점으로 현재 좌표를 이동한다.


단순 드로잉 함수

FillRect : 특정 브러시를 사용하여 지정된 사각형을 채운다.

FrameRect : 사각형 주변에 경계선을 그린다.

InvertRect : 사각형 내부를 반전시킨다.

DrawIcon : 아이콘을 그린다.

DrawDragRect : 드래그된 사각형을 지우거나 다시 그린다.

FillSolidRect : 솔리드 컬러로 사각형을 채운다.

Draw3dRect : 3차원 형태의 사각형을 그린다.

DrawEdge : 사각형의 모서리를 그린다.

DrawFrameControl : 프레임 컨트롤을 그린다.

DrawState : 이미지를 출력하고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효과를 적용한다.


타원과 다각형(Polygon) 함수

Chord : 현을 그린다.

DrawFocusRect :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 형태로 사각형을 그린다.

Ellipse : 타원을 그린다.

Pie : 파이 모양을 그린다.

Polygon : 선들에 의해서 연결된 두 개 이상의 점들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을 그린다.

PolyPolygon : 현재의 다각형 채우기 모드를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다각형을 그린다. 이 다각형들은 합쳐지지는 않지만 겹쳐질 수는 있다.

Polyline : 지정된 점들을 연결하는 선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을 그린다.

Rectangle : 현재의 펜을 사용하여 사각형을 그리고 현재의 브러시를 사용하여 사각형을 채운다.

RoundRect : 현재의 펜을 사용하여 모서리가 둥근 형태의 사각형을 그리고, 현재의 브러시 를 사용하여 채운다.


비트맵 함수

PatBlt : 비트 패턴을 만든다.

BitBlt : 지정된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비트맵을 복사한다.

StretchBlt : 디바이스의 원본 사각형에서 대상 사각형으로 비트맵을 이동시킨다. 비트맵의 크기가 대상 사각형의 원본보다 크거나 작다면 비트맵을 적당히 늘리거나 줄여서 이동시킨다.

GetPixel : 지정된 픽셀의 RGB컬러 값을 얻는다.

SetPixel : 지정된 컬러의 근사값으로 지정된 좌표에 점을 찍는다.

SetPixelV : 지정된 컬러의 근사값으로 지정된 좌표에 점을 찍는다. SetPixelV는 찍힌 점의 컬러 값을 반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SetPixel보다 더 빠르다.

FloodFill : 현재의 브러시를 사용하여 영역을 채운다.

ExtFloodFill : 현재의 브러시로 영역을 채운다. FloodFill 멤버함수보다는 약간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MaskBlt : 주어진 마스크와 래스터 연산을 사용하여 원본과 대상 비트맵에 대한 컬러 데이터를 합친다.

PlgBlt : 원본 디바이스 컨텍스트의 지정된 사각형에서 주어진 디바이스 컨텍스트의 지정 된 평행사변형 영역에 비트맵을 복사한다.


텍스트 관련 함수

TextOut : 현재의 선택된 폰트를 사용하여 지정된 위치에 문자열을 출력한다.

ExtTextOut : 현재의 선택된 폰트를 사용하여 지정된 사각형의 영역 내에 문자열을 출력 한다.

TabbedTextOut : 탭이 멈추는 위치를 지정해 주면 그 위치에 문자열을 출력한다.

DrawText : 지정된 사각형 안에 포맷된 형태의 텍스트를 출력한다.

GetTextExtent :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현재 폰트를 사용한 속성 디바이스 컨텍스트 상 에서 텍스트의 폭과 높이를 얻는다.

GetOutputTextExtent :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 상에서 텍스트의 폭과 높이를 얻는다.

GetTabbedTextExtent : 속성 디바이스 컨텍스트 상에서 주어진 탭 지정 문자열의 폭과 높이를 얻는다.

GetOutputTabbedTextExtent :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 상에서 주어진 탭 지정 문자열의 폭 과 높이를 얻는다.

GrayString : 주어진 위치에 희미하게 출력되는 텍스트를 출력한다.

GetTextAlign : 텍스트 정렬 플래그 값을 얻는다.

SetTextAlign : 텍스트 정렬 플래그 값을 설정한다.

GetTextFace : 버퍼에 현재 폰트의 폰트 이름을 복사한다.

GetTextMetrics : 속성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현재의 폰트에 대한 크기를 얻는다.

GetOutputTextMetrics :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현재의 폰트에 대한 크기를 얻는다.

SetTextJustification : 문자열의 사이에 공백을 추가한다.

GetTextCharacterExtra : 현재 설정된 문자 사이의 공백을 얻는다.

SetTextCharacterExtra : 문자 사이의 공백을 설정한다.


폰트 함수

GetFontData : 폰트의 크기 정보를 가변폭 폰트 파일로 얻는다. 얻기 위한 정보는 폰트 파일 안에 오프셋을 지정함으로써 구별되고, 반환된 정보의 길이 역시 구별된다.

GetKerningPairs : 현재 지정된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선택된 폰트에 대한 문자 kerning 쌍을 얻는다.

GetOutputTextMetrics : 트루 타입 폰트에 대한 폰트 크기 정보를 얻는다.

GetGlyphOutline : 현재의 폰트에서 외곽선 문자에 대한 곡선 또는 비트맵을 얻는다.

GetCharABCWidths : 지정된 범위에 있는 연속된 문자의 폭을 논리 단위로 얻는다.

GetCharWidth : 속성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연속된 문자열에 대한 개별 문자의 폭을 얻는다.

GetOutputCharWidth : 출력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연속된 문자열에 대한 개별 문자의 폭 을 얻는다.

SetMapperFlags : 논리적인 폰트를 물리적인 폰트로 매핑할 때 폰트 매퍼가 사용할 알고리즘을 설정한다.

GetAspectRatioFilter : 현재 폰트의 종횡비 필터에 대한 설정 값을 얻는다.


프린터 확장 함수

QueryAbort : 애플리케이션에서 인쇄를 수행하거나 혹은 인쇄가 종료되었는지를 쿼리하기 위한 AbortProc 콜백함수를 호출한다.

Escape : GDI를 통해서 특별한 디바이스에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서 애플리케이션을 허용하도록 한다. 또한 윈도우 확장 함수에 대한 참조를 허가한다

.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만들어진 Escape 호출은 적절히 변환되어 디바이스 드라이버에게 보내진다.

DrawEscape : GDI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드로잉 능력을 참조한다.

StartDoc : 새로운 인쇄 작업이 시작되었음을 디바이스 드라이버에게 알린다.

StartPage : 새로운 페이지가 시작되었음을 디바이스 드라이버에게 알린다.

EndPage : 페이지가 끝났음을 디바이스 드라이버에게 알린다.

SetAbortProc : 인쇄 작업이 중단될 때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콜백 함수를 호출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AbortDoc : 애플리케이션이 StartDoc 멤버 함수의 마지막 호출 후에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출력한 모든 내용을 지우고 현재의 인쇄 작업을 종결한다.

EndDoc : StartDoc 멤버 함수에 의해서 시작된 인쇄 작업을 마친다.


스크롤 관련 함수

ScrollDC : 직사각형 영역을 수평과 수직으로 스크롤한다.


메타 파일 관련 함수

PlayMetaFile : 주어진 디바이스 상에서 지정된 메타 파일의 내용을 수행한다. PlayMetaFile 의 확장된 버전은 주어진 확장 포맷 메타 파일에 저장된 그림을 출력한다. 메타 파일 은 원하는 만큼 재생이 가능하다.

AddMetaFileComment : 버퍼에서 지정된 확장 포맷 형태의 메타 파일로 주석을 복사한다.


경로 함수

AbortPath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임의의 경로를 닫고 없앤다.

BeginPath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경로 대괄호를 연다.

CloseFigure : 경로에서 열려있는 도형을 닫는다.

EndPath : 경로 대괄호를 닫고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대괄호로 정의된 경로를 선택한다.

FillPath : 현재 경로에 열려 있는 도형들을 닫고 현재의 브러시와 다각형을 채우기 위한 모드를 사용하여 경로의 내부를 채운다.

FlattenPath : 현재의 디바이스 컨텍스트의 선택된 경로에서 임의의 곡선을 전달하고 연속 된 선으로 변환한다.

GetMiterLimit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 대한 미터 제한을 반환한다.

GetPath : 선의 끝점을 정의하는 좌표를 얻고 곡선의 제어점을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선택된 경로에서 찾는다.

SelectClipPath : 현재의 경로를 지정된 모드를 사용하여 기존의 클리핑 영역과 새로운 영 역을 결합한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위한 클리핑 영역을 선택한다.

SetMiterLimit :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위한 미터 결합의 한계를 설정한다.

StrockeAndFillPath : 경로 상에 열려 있는 도형을 닫고, 현재의 펜을 사용하여 경로의 외곽선을 그린 후에 현재의 브러시를 사용하여 내부를 채운다.

StrockPath : 현재의 펜을 사용하여 지정된 경로를 표현한다.

WidenPath : 디바이스 컨텍스트에서 선택된 현재의 펜으로 경로가 그려지면, 그 영역이 그려짐으로 인해서 현재 경로를 다시 정의하게 된다.



2) CDC 파생 클래스들

  • CPaintDC 클래스


    데이터 멤버

    m_ps : 클라이언트 영역을 그리기 위해서 PAINTSTRUCT 를 포함한다.

    m_hWnd : CPaintDC 객체에 추가되는 HWND


    생성

    CPaintDC : 지정된 CWnd와 연결된 CPaintDC를 생성한다.


  • CClientDC 클래스

    데이터 멤버

    m_hWnd : CClientDC 객체에 추가되는 HWND

    생성

    CClientDC : 지정된 CWnd에 연결된 CClientDC를 생성한다.

  • CWindowDC 클래스

    데이터 멤버

    m_hWnd : CWindowDC 객체에 추가되는 HWND

    생성

    CWindowDC : CWindowDC 객체를 생성한다.


  • CMetaFileDC 클래스

    생성

    CMetaFileDC : CMetaFileDC 객체를 생성한다.


    초기화

    Create : 윈도우 메타파일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생성하여 CMetaFileDC객체에 추가한다.

    CreateEnhanced : 개선된 포맷의 메타파일에 대한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생성한다.


    역할

    Close :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종료하고 메타파일의 핸들을 생성한다.

    CloseEnhanced : 개선된 포맷의 메타파일에 대한 디바이스 컨텍스트를 종료하고 개선된 포맷의 메타파일에 대한 핸들을 생성한다.


    3) CGdiObject 클래스

    - CGdiObject 클래스는 비트맵, 영역, 브러시, 팬, 폰트처럼 그래픽 처리를 위한 다양한 GDI 객체를 사용하기 위한 베이스 클래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직접 CGdiObject 객체를 생성 할 수는 없다. CBitmap, CBrush, CFont, CPalette, CPen, CRgn 와 같은 파생 클래스로 부터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데이터 멤버

    m_hObject : 이 객체에 추가된 HBITMAP, HPALETTE, HRGN, HBRUSH, HPEN, HFONT를 포함하 는 핸들값이다.

    생성

    CGdiObject : CGdiObject 객체를 생성한다.


    역할

    GetSafeHandle : this 포인터가 NULL이 아니면 m_hObject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NULL을 반환한다.

    FromHadle : 윈도우 GDI 객체의 핸들에 부여된 CGdiObject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다.

    Attach : 윈도우 GDI 객체를 CGdiObject 객체에 추가한다.

    Detach : CGdiObject 객체에서 윈도우 GDI 객체를 분리하고 윈도우 GDI 객체에 대한 핸들 을 반환한다.

    DeleteObject : 객체와 관련된 시스템 저장 장소를 모두 해제함으로써 메모리에서 CGdiObject 객체에 추가된 윈도우 GDI 객체를 삭제한다.

    DeleteTempMap : FromHandle에 의하여 작성된 임시 CGdiObject 객체를 삭제한다.

    GetObject : CGdiObject 객체에 추가된 윈도우 GDI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 는 버퍼를 채운다.

    CreateStockObject : 이미 정의된 스톡펜, 브러시, 폰트 중에서 하나의 핸들을 얻는다.

    UnrealizeObject : 논리 팔레트나 브러시의 원점을 재설정한다.

    GetObjectType : GDI 객체의 타입을 얻는다.

출처 ) http://user.chollian.net/~ksupark/mfc.htm

 


2008. 10. 3. 20:22

[펌] MFC TIP 1

 



출처 : http://tong.nate.com/navy9370/30055273


2008. 10. 3. 20:21

Menu


 void CTestDlg::OnContextMenu(CWnd* pWnd, CPoint point)
{
      // TODO: Add your message handler code here
      CMenu menu;
      CMenu *pMenu;
      menu.LoadMenu(IDR_MENU1);
      pMenu = menu.GetSubMenu(0);

    

      if( val == 1 )  // val은 전역변수
     {
          pMenu->EnableMenuItem( ID_MENUITEM32771, MF_GRAYED | MF_DISABLED);
      }
     else if( val == 2 )
     {
         pMenu->EnableMenuItem( ID_MENUITEM32771, MF_ENABLED);
     }

  pMenu->TrackPopupMenu(TPM_LEFTALIGN|TPM_RIGHTBUTTON, point.x, point.y, AfxGetMainWnd());

}

 

 // 각 메뉴의 command이벤트 발생시 호출 함수

void CTestDlg::OnMenuitem32771()
{
 val = 1;   // val은 전역변수
}

 

void CTestDlg::OnMenuitem32772()
{
 // TODO: Add your command handler code here

 val = 2; // val은 전역변수
}

void CTestDlg::OnMenuitem32773()
{
 AfxMessageBox("t3");
}

2008. 10. 3. 20:20

File Tree Library


 

File Tree Library

소스 : FileTreeCtrl.zip -> 원본 소스에 조금 수정한 부분 있음.

원본 소스 : FileTreeCtrl_src.zipFileTreeCtrl_demo.zip

출처 : codeproject.com 


사용법


 먼저 소스를 추가한다.

 shlwapi.h

 FileTreeCtrl.cpp

 FileTreeCtrl.h

 ShLwApi.Lib

 

라이브러리 setting해주고...

 

tree control 추가후

연결변수 추가하고

 

해당 클래스이 헤더부분에 참조추가

#include "FileTreeCtrl.h"

 CFileTreeCtrl m_Tree_FileView; -> 수정부분... CTreeCtl -> CFileTreeCtrl

 

.cpp파일의 생성자부분에...

 

BOOL CPathViewPopupDlg::OnInitDialog()
{
 CDialog::OnInitDialog();
 
 // TODO: Add extra initialization here
 m_Tree_FileView.AddHidFolder(CSIDL_BITBUCKET);
 m_Tree_FileView.AddHidFolder(CSIDL_CONTROLS);
 m_Tree_FileView.DisplayTree();

 
 return TRUE;  // return TRUE unless you set the focus to a control
               // EXCEPTION: OCX Property Pages should return FALSE

 

2008. 10. 3. 17:46

CComboBox 함수정리

▷ CComboBox::AddString - 스트링을 더함.
▷ CComboBox::CComboBox - ComboBox 오브젝트를 생성(구성).
▷ CComboBox::Clear -현재 선택을 지움.
▷ CComboBox::CompareItem - 새로운 리스트 항목의 상태적 위치를 결정.
▷ CComboBox::Copy - 현재 선택을 Copy.
▷ CComboBox::Create - CComboBox를 생성.
▷ CComboBox::Cut - 제거된 텍스트를 복사.
▷ CComboBox::DeleteItem - 항목이 Combo 박스에서 제거.
▷ CComboBox::DeleteString - 스트링을 제거.
▷ CComboBox::Dir - 리스트를 더함.
▷ CComboBox::DrawItem - 양상이 변할 때 불려짐.
▷ CComboBox::FindString - 첫 번째 스트링을 찾음.
▷ CComboBox::FindStringExact - 첫 번째 리스트 박스 스트링을 찾음.
▷ CComboBox::GetCount - 항목의 수를 회복.
▷ CComboBox::GetCurSel - 현재 선택된 항목의 색인을 찾음
▷ CComboBox::GetDroppedControlRect - 스크린 좌표를 되찾음.
▷ CComboBox::GetDroppedState - 리스트 박스가 보일지를 결정.
▷ CComboBox::GetEditSel - 시작과 끝나는 문자의 위치를 얻음.
▷ CComboBox::GetExtendedUI - 디폴트, 확장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결정.
▷ CComboBox::GetItemData - 항목과 관련된 비트값을 회복.
▷ CComboBox::GetItemDataPtr - 포인터로서 관련된 비트 값을 회복.
▷ CComboBox::GetItemHeight - 리스트 항목의 높이를 회복.
▷ CComboBox::GetLBText - 리스트 박스로부터 스트링을 얻음.
▷ CComboBox::GetLBTextLen - 스트링의 길이를 지정.
▷ CComboBox::InsertString - 스트링의 삽입.
▷ CComboBox::LimitText - 텍스트의 길이를 제한.
▷ CComboBox::MeasureItem - Combo 박스 치수를 결정하기 위해 불려짐.
▷ CComboBox::Paste - 현재 커서 위치에서 편집 제어로 삽입.
▷ CComboBox::ResetContent - 모든 항목의 제거.
▷ CComboBox::SelectString - 스트링을 선택, 복사.
▷ CComboBox::SetCurSel - 스트링을 선택.
▷ CComboBox::SetEditSel - 편집 제어에서 문자들을 선택.
▷ CComboBox::SetExtendedUI - 디폴트, 확장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
▷ CComboBox::SetItemData - 항목과 관련된 값을 정함.
▷ CComboBox::SetItemDataPtr - 포인터에 대한 관련된 값을 정함.
▷ CComboBox::SetItemHeight - 높이를 지정.
▷ CComboBox::ShowDropDown - 리스트 박스를 보여주거나 숨김.


2008. 10. 3. 17:46

Accelerator 단축키 사용

 자원편집기에서 Accelerator를 하나 등록하세요... 새로추가하시는 방법을 모르시면 Ctrl-R 키를
누르시면 Insert Resource 라는 대화상자가 나오고 열거된 항목중에서 Accelerator를 선택하시고
New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IDR_MY_ACC라고 단축키목록을 새로 만드셨으면
해당 목록을  선택하고 사용하고 싶은 단축키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단축기 목록을 사용하고 싶은 클래스의 해더파일에 가서...

HACCEL m_accelerators_key;

변수를 하나 등록하시고, 해당 객체의 객체 생성자에 가서 다음 코드를 추가하시고

m_accelerators_key = ::LoadAccelerators(AfxGetInstanceHandle(),
                                    MAKEINTRESOURCE(IDR_MY_ACC));

그리고 해당 클래스의 PreTranslateMessage(MSG* pMsg) 함수( 만약 아직 선언이 되어있지 않다면
클래스 위저드를 이용해서 선택하여 만들면 됩니다.)에 가서 다음 코드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if(::TranslateAccelerator(this->m_hWnd, m_accelerators_key, pMsg)) return TRUE;

이렇게 하시면 지정한 단축키 목록을 해당 클래스에서 사용할수 있습니다..